1. 클라우드 기초 개념
🔸 1) 클라우드 정의
-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식
- 온디맨드 방식으로 서버, 스토리지, DB,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
🔸 2)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모델 | 설명 | 예시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가상 머신,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인프라 제공 | AWS EC2, Azure VM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개발·배포 환경 제공 | Heroku, AWS Elastic Beanstalk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완성된 소프트웨어 제공 | Gmail, Dropbox, Slack |
🔸 3) 클라우드 배포 모델
- 퍼블릭 클라우드: AWS, GCP, Azure
-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업 내부 IDC 기반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 + 프라이빗 조합
- 멀티 클라우드: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병행 사용
✅ 2. 클라우드 실무 지식
🔸 1) AWS / Azure / GCP 실무 주요 서비스
범주주요 서비스 (AWS 기준)설명
컴퓨팅 | EC2 | 가상 서버 |
컨테이너 | ECS, EKS | Docker 기반 서비스 |
네트워크 | VPC, ELB, Route 53 | 가상 네트워크 구성, 로드 밸런싱 |
데이터베이스 | RDS, DynamoDB | 관계형/NoSQL DB |
스토리지 | S3, EBS | 오브젝트/블록 스토리지 |
보안 | IAM, KMS, WAF | 권한 관리, 암호화, 방화벽 |
모니터링 | CloudWatch | 자원 모니터링 및 경보 |
자동화 | CloudFormation, Terraform | 인프라 코드화 (IaC) |
🔸 2) DevOps와 클라우드 연계
- CI/CD 파이프라인 구축
- GitHub Actions, GitLab CI, Jenkins 등을 통한 자동 빌드·배포
- IaC (Infrastructure as Code)
- Terraform, AWS CDK, CloudFormation 등을 사용한 인프라 선언
- 컨테이너
- Docker, Kubernetes (EKS/GKE/AKS)
- 모니터링 및 로깅
- Prometheus + Grafana, ELK Stack, AWS CloudWatch 등
🔸 3) 클라우드에서의 보안 실무
- 최소 권한 원칙에 따라 IAM 사용자/역할 설정
- VPC 서브넷 구성, 보안 그룹, NACL 설정
- 데이터 암호화 (서버 사이드, 클라이언트 사이드)
- 서비스 간의 접근 제어 (예: S3 버킷 정책, RDS 보안)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Zoomoney 프로젝트를 Cloud 환경에서 한다면? (0) | 2025.06.11 |
---|---|
MSA란? (0) | 2025.05.22 |
Zoomoney 프로젝트 Prometheus 와 Grafana 연동 (0) | 2025.04.23 |
Jenkins (0) | 2025.04.22 |
Docker 와 Podman 차이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