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자원(Resource)에 대한 행위(Verb)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일관된 구조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API
✅ 주요 개념 정리
| 요소 |
설명 |
| 자원(Resource) |
서버의 데이터 (ex. 사용자, 게시글, 상품 등) → URI로 표현 |
| 행위(Verb) |
자원에 대한 작업 → HTTP 메서드 사용 (GET, POST, PUT, DELETE 등) |
| 표현(Representation)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주고받는 자원의 형태 (보통 JSON 형식) |
✅ HTTP 메서드와 자원 조작
| HTTP 메서드 |
의미 |
예시 |
URI설명 |
| GET |
조회 |
/users/1 |
ID가 1인 사용자 조회 |
| POST |
생성 |
/users |
새 사용자 생성 |
| PUT |
수정 (전체) |
/users/1 |
ID가 1인 사용자 전체 수정 |
| PATCH |
수정 (부분) |
/users/1 |
ID가 1인 사용자 일부 수정 |
| DELETE |
삭제 |
/users/1 |
ID가 1인 사용자 삭제 |
✅ RESTful API의 장점
- URL이 직관적이고 자원 중심 구조
- HTTP 표준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쉽게 이해 가능
- 프론트/백엔드 분리에 적합 (React, Vue 같은 SPA 프론트와 연동하기 쉬움)
- 캐싱 및 클라이언트 독립성이 뛰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