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SP (Cloud Service Provider)
✅ 정의
- 클라우드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회사
- 인프라,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하는 주체.
✅ 예시
-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Oracle Cloud, Naver Cloud
- 이들이 **클라우드 자원(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DB, AI 서비스 등)**을 직접 제공
✅ 역할
- 클라우드 인프라/서비스 제공 (IaaS, PaaS, SaaS)
- 데이터센터 운영 및 글로벌 리전 관리
- SLA(서비스 수준 협약) 보장
2️⃣ MSP (Managed Service Provider)
✅ 정의
- CSP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대신 설계·운영·관리해주는 회사(또는 조직)
- 쉽게 말해, 클라우드 운영 대행사 같은 개념.
✅ 역할
-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및 구축
- 보안 관리, 비용 최적화, 모니터링, 장애 대응
- 멀티 클라우드·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운영 지원
- 기업 고객이 CSP를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컨설팅 및 관리 제공
✅ 예시 (한국 기준)
- 메가존클라우드, GS네오텍, Bespin Global, LG CNS, 삼성SDS
3️⃣ MSP vs CSP 비교
구분 | CSP (Cloud Service Provider) | MSP (Managed Service Provider) |
의미 | 클라우드 서비스 직접 제공 업체 | 클라우드 운영/관리 대행 업체 |
역할 | 인프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 구축, 운영, 보안, 비용 관리 |
고객 대상 | 최종 사용자, 기업 | CSP + 최종 사용자 |
예시 | AWS, Azure, GCP, Naver Cloud | 메가존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CD (0) | 2025.08.21 |
---|---|
Zoomoney 프로젝트를 Cloud 환경에서 한다면? (0) | 2025.06.11 |
MSA란? (0) | 2025.05.22 |
클라우드 기초 개념 (0) | 2025.05.21 |
Zoomoney 프로젝트 Prometheus 와 Grafana 연동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