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1995 DevOps Note
          THE 1995 DevOps Note
        
                    Back-End/Java
                  
                  
                    JAVA 메타스페이스란??
                  
                  
                    2025.09.17
                  
                  Java 8부터 도입된 메모리 영역 이전 버전(Java 7까지)에서는 클래스 메타데이터를 PermGen(Permanent Generation) 영역에 저장했는데, Java 8부터는 PermGen이 제거되고 Metaspace라는 새로운 영역이 도입 특징클래스 메타데이터 저장소JVM이 로딩한 클래스의 메타데이터(클래스 구조, 메소드, 필드 정보 등)를 저장하는 영역이에요.PermGen과의 차이점PermGen은 JVM 힙 메모리 내부에 있었지만,Metaspace는 **네이티브 메모리(native memory, OS 메모리)**를 사용해요.→ 즉, JVM 힙 크기와는 별개로 운영체제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PermGen보다 더 유연해졌어요.자동 확장 가능기본적으로 제한이 없어서, 필요할 때마다 OS 메모리에서..
                
                    DB
                  
                  
                    DB 파티션이란?
                  
                  
                    2025.09.12
                  
                  DB에서 파티션(Partition) 이란??하나의 큰 테이블이나 인덱스를 여러 개의 작은 논리적 단위로 나누어 저장하는 방식 사용 이유???데이터가 너무 많아지면 검색이나 관리가 느려짐파티션을 적용하면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만 조회할 수 있어 성능이 향상또한 오래된 데이터와 최근 데이터를 분리해 관리하거나, 특정 파티션만 백업·삭제하는 등 유지보수가 용이파티션의 종류범위 파티션 (Range Partitioning): 날짜나 숫자 범위로 나눔리스트 파티션 (List Partitioning): 특정 값 집합으로 나눔 (예: 지역별)해시 파티션 (Hash Partitioning): 해시 함수를 이용해 고르게 분산복합 파티션 (Composite Partitioning): 위 방식을 조합
                
                    WEB/WebApplicationServer
                  
                  
                    Tomme & Tomcat
                  
                  
                    2025.09.05
                  
                  지원 스펙 / 프로그래밍 모델구분TomcatTomEE기본Servlet, JSP/EL, WebSocketTomcat + Jakarta EE Web Profile 계열 기능들DI없음(직접 프레임워크 필요)CDI(@Inject) 기본 제공트랜잭션로컬 트랜잭션만(직접 관리)JTA 제공 → CMT/BMT, 분산 트랜잭션영속성없음JPA + @PersistenceContext(EntityManager) 주입EJB없음EJB Lite(예: @Stateless, @Schedule)REST없음(별도 프레임워크 필요)JAX-RS 내장(일반적으로 Apache CXF 통합)Bean Validation없음@NotNull 등 기본 제공결과: Spring 없이 “표준 EE API”만으로 개발하려면 TomEE가 바로 됩니다.Spring..
                
                    네트워크
                  
                  
                    Failover  & Failback
                  
                  
                    2025.09.05
                  
                  🖥️ Failover & Failback 정리1. Failover (장애 조치)✅ 정의서비스 운영 중 장애가 발생했을 때, 대기 중이던 서버나 시스템으로 업무를 자동 전환하는 과정.목표: 서비스 중단 최소화 (고가용성, HA)✅ 동작 방식감지 (Detection)모니터링 시스템(Heartbeat, Health check 등)이 Primary 서버의 장애를 감지전환 (Switching)Standby 서버(Secondary)가 Primary 역할을 이어받음서비스 유지 (Continuity)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큰 중단 없이 서비스가 유지됨✅ 종류Cold Standby: Standby 서버는 꺼져 있다가 장애 시 부팅 → 전환 속도 느림Warm Standby: Standby 서버는 켜져 있지만 동기화 주기는..
                
                    네트워크
                  
                  
                    L3 / L4 / L7 스위치
                  
                  
                    2025.09.05
                  
                  1️⃣ L3 스위치 (Layer 3 Switch, 라우팅 스위치)✅ 정의L2 스위치 기능(패킷 스위칭) + L3 기능(라우팅)을 동시에 제공하는 장비.즉, IP 주소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음.✅ 동작 방식L2에서는 MAC 주소 기반으로 스위칭L3에서는 IP 주소 기반으로 라우팅 (ARP, 라우팅 테이블 사용)✅ 주요 기능VLAN 간 라우팅 (Inter-VLAN Routing)정적/동적 라우팅 (OSPF, RIP 등 지원)ACL(Access Control List)로 기본적인 보안 제어 가능✅ 활용 사례대규모 사내망에서 VLAN 분리 + 통신 연결캠퍼스 네트워크 코어 스위치IDC(데이터센터) 내부 라우팅2️⃣ L4 스위치 (Layer 4 Switch, 로드밸런서)✅ 정의전송 계층(TCP/UDP) 정..